-
[ 목차 ]
지구의 평균 기온 상승을 1.5도 이내로 막기 위해서는 탄소 배출을 줄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이미 대기 중에 쌓인 이산화탄소(CO₂)를 직접 제거해야 한다는 데 과학자들과 정책 입안자들의 의견이 모이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 속에서 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CCS: Carbon Capture and Storage), 탄소 포집 및 활용 기술(CCU: 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 그리고 직접 공기 포집(DAC: Direct Air Capture) 기술이 부상하고 있다.
나아가, 탄소를 제거해 기후 변화를 거꾸로 돌리려는 ‘기후 리버설(Climate Reversal)’이라는 대담한 개념도 진지하게 논의되고 있다. 과연 우리는 기술로 지구의 시간을 되돌릴 수 있을까?
탄소 포집 기술은 어떻게 작동할까? – CCS, CCU, DAC의 이해
탄소 포집(Carbon Capture)이란, 대기 중으로 배출되기 전이나 이미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물리적, 화학적 방법으로 포집하여 지하에 저장하거나 산업적으로 재활용하는 기술을 말한다. 크게 세 가지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 CCS (Carbon Capture and Storage) – 저장에 초점
발전소, 공장 등 대규모 배출원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한다.
포집된 CO₂는 압축해 액체 상태로 만든 뒤, 지하 깊은 암반층(지질저장소)에 주입하여 영구 저장한다.
대표 사례: 노르웨이의 슬라이프너 프로젝트(Sleipner Project), 캐나다의 보더미드 프로젝트(Boundary Dam Project).
장점: 대규모로 많은 양의 탄소를 처리할 수 있음.
단점: 설치 비용과 에너지 소모가 매우 크며, 장기 저장 안정성에 대한 우려 존재.
● CCU (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 – 활용에 초점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다시 산업 소재, 연료, 화학제품 등으로 전환한다.
예시: 탄산음료 제조, 합성 연료 생산, 건축 자재(탄소를 함유한 콘크리트) 제작.
장점: CO₂를 경제적 가치로 전환 가능.
단점: 아직은 활용처가 제한적이고, 기술 경제성이 낮은 편.
● DAC (Direct Air Capture) – 대기 중 탄소 직접 제거
대기 중 희박하게 존재하는 CO₂를 직접 흡착하여 제거하는 기술.
대표 기업: 스위스의 클라임웍스(Climeworks), 캐나다의 카본 엔지니어링(Carbon Engineering).
장점: 어디서나 설치 가능, 기존 배출원을 찾지 않아도 됨.
단점: 대기 중 CO₂ 농도가 낮기 때문에 에너지 소모와 비용이 매우 높음.
● 탄소 포집 기술의 현재 위치
현재까지 탄소 포집 기술은 세계 전체 탄소 배출량의 극히 일부만 처리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50년까지 넷제로 목표를 달성하려면 매년 약 70억 톤의 CO₂를 제거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는 현재 규모의 수백 배에 달하는 도전이다.
기후 리버설(Climate Reversal) – 시간의 흐름을 되돌리는 대담한 꿈
탄소 포집 기술은 단순히 ‘배출 저감’에 그치지 않는다. 궁극적으로는 이미 누적된 탄소를 제거하여 지구의 기후 시스템을 과거 상태로 되돌리는 것, 즉 ‘기후 리버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기후 리버설이란 무엇인가?
지구 대기에 축적된 탄소를 인위적으로 제거하여 지구 평균 기온을 산업화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려는 시도.
단순히 온난화 속도를 늦추는 것이 아니라, 온도를 실제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매우 매력적이지만 동시에 대단히 어려운 도전이다. 왜냐하면:
대규모 탄소 제거가 필요한데, 현재 기술 수준으로는 비용과 에너지가 천문학적으로 든다.
생태계와 대기 시스템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 기후 리버설을 위한 주요 접근 방법
대규모 DAC 플랜트 설치
전 세계에 수천 개의 DAC 시설을 설치해 대기 중 탄소를 빠르게 제거.
해양 기반 포집 기술
바다를 활용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더 많이 흡수하도록 유도(예: 해양 비료 살포).
토양 탄소 저장(Carbon Farming)
농업 기술을 개선해 토양에 더 많은 탄소를 저장.
생물학적 방법
대규모 조림, 해조류 양식 등을 통한 자연 기반 해결책(NBS: Nature-Based Solutions) 확대.
● 현실적인 문제와 한계
경제성: DAC로 1톤의 CO₂를 제거하는 데 500~1000달러 이상이 든다.
에너지 문제: DAC 시설을 돌리는 데 필요한 전기는 막대한 양으로, 오히려 다른 환경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사회적 수용성: 탄소 포집 시설에 대한 지역 주민 반발(NIMBY 현상), 정부의 정책적 지원 부족.
탄소 포집 기술이 가져올 미래 –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탄소 포집 기술과 기후 리버설은 미래의 생존 전략이다. 하지만 이 기술만으로는 기후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탄소 포집은 감소 노력과 병행되어야 하며, 기술을 넘어서 사회, 경제, 정치적 혁신이 함께 필요하다.
● 기술 발전 전망
비용 절감: 혁신적인 흡착제 개발, 공정 최적화로 향후 1020년 안에 DAC 비용이 100200달러/톤 수준으로 낮아질 전망.
에너지 전환과 병행: DAC 플랜트가 재생 에너지를 사용해 돌아가야 의미가 있다.
국제 협력 필요: 탄소 제거량을 국제적으로 거래하는 탄소 크레딧 시장 활성화.
● 새로운 비즈니스와 일자리
탄소 제거 산업(CDR Industry)의 성장은 새로운 일자리와 경제 기회를 창출할 것이다.
초기에는 정부 지원이 필수적이지만, 향후 민간 기업들이 적극 참여할 전망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스트라이프(Stripe) 등 대형 기업들은 이미 수백만 달러 규모의 탄소 제거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있다.
● 우리가 생각해야 할 윤리적 질문
책임 문제: 어느 나라가 얼마만큼 제거해야 하는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부담 분배.
기술 맹신 경계: "탄소 포집이 있으니 계속 배출해도 된다"는 잘못된 인식 확산 우려.
생태계 보호: 인위적 조작이 오히려 자연 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
탄소 포집과 기후 리버설 기술은 현재로서는 희망적인 가능성과 복잡한 현실 사이에 놓여 있다. 기술이 아무리 발전하더라도,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노력 없이는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 수 없다.
기술은 우리에게 시간을 벌어줄 수 있지만, 궁극적인 해결책은 인간의 의지와 협력에 달려 있다.
지금 우리는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지구의 시간을 되돌리겠다’는 야심 찬 목표가 단순한 꿈이 아닌, 현실이 되기 위해서는 과감한 투자와 실천이 필요하다. 기후 리버설의 시대는, 우리 모두의 손에 달려 있다.